1. 교육 기관
⑴ 인문 교육 기관: 중앙에 성균관과 4부 학당, 지방에 향교를 두어 각 군현의 인구에 비례하여 정원을 책정.
① 초등 교육: 서당
㉠ 입학 대상: 사립 교육 기관으로서 사학이나 향교에 입학하지 못한 선비와 평민 자제들이 교육을 받았다.
㉡ 입학 연령: 대가 8, 9세부터 15, 16세 정도였다.
② 중등 교육: 중앙의 4학(4부 학당)과 지방의 향교.
㉠ 사학(4부 학당): 중학․동학․서학․남학이 있었으며, 정원은 각각 100명씩이었다.
㉡ 향교: 부․목․군․현에 각각 하나씩 설립.
③ 고등 교육: 성균관
∙명륜당: 유학 강의동 ∙문묘: 공자 등 성현을 모신 곳 ∙양재: 기숙사 ∙존경각: 도서관 ∙비천당: 과거시험장 |
⑵ 기술 교육
㉠ 교육 기관: 의학, 역학, 산학, 율학, 천문학, 도교, 회화 등으로 나누어 각각 전의감, 사역원, 호조, 형조, 관상감, 소격서, 도화서 등 해당 관청에서 교육.
㉡ 학생 수와 교육 내용: 기술 교육은 군현의 크기와 지방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 수와 교육 내용을 조정.
2. 민족문화의 성립
⑴ 민족 문화의 발달배경과 한글 창제
① 조선 초기 학풍: 집권층인 관학파가 과학기술과 실용 학문을 중시.
② 한글 창제: 1446년 반포.
⑵ 실록의 편찬
① 실록의 편찬(태조실록~철종실록)
㉠ 태조실록: 태종때(1413) 편찬.
㉡ 정종․태종실록: 세종때 편찬
㉢ 광해군 일기, 연산군 일기, 노산군 일기(숙종 때 「단종 )
㉣ 선조․현종․경종 수정(삭제) 실록
② 실록의 기록
㉠ 정종․태종실록 편찬 이래 춘추관에 임시관청인 실록청을 설치
㉡ 왕의 사후에 사초를 정리하여 초․중․정초의 과정을 편년체로 기록.
㉢ 사초(사관이 국왕 옆에서 기록)와 시정기(각 관청의 문서를 종합하여 춘추관에서 작성)은 사관 이 외 열람 불가.
③ 실록의 보관
세 종 | 선조~광해군 | 이괄의 난 이후 | 현재 |
춘추관 사고 | 춘추관 사고 | 춘추관 사고 | 이괄의 난 때 소실 |
충주 사고 | 오대산 사고 | 오대산 사고 | 도쿄대로 이전(1923년 지진으로 소실) |
성주 사고 | 태백산 사고 | 태백산 사고 | 부산 국가 기록 보관소에 보관 |
전주 사고 (임진왜란 때 유일 보존) | 마니산 사고 | 정족산 사고 |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 |
김일성대학교 보존 | |||
묘향산 사고 | 적상산 사고 |
④ 국조보감: 실록 중 역대 왕들의 선정과 훌륭한 언행만을 모아서 간행. 왕들의 정치 참고서로 이용.
⑶ (조선 전기) 역사서의 편찬
건 국 초 | (혁명파 사대부의) 성리학적 사관 조선 왕조 개창의 정당화 및 성리학적 통치 규범 확립이 목적 | |||||
고려국사 | 정도전 | 태조 4(1395) | 고려전체 역사 | 편년체 | 고려 멸망 당위성, 조선건국 합리화 | |
동국사략 | 권근 하륜 | 태종 3(1403) | 단군~고려말 | 편년체 | 단군-기자-위만-한사군-삼한-삼국으로 상고사 체계화 | |
15 세 기
중 엽 | (관학파의) 자주적 사관으로 자주적 입장에서 고려 역사를 재정리 | |||||
고려사 | 김종서 정인지 | 문종 1(1451) | 고려시대 역사 | 기전체 | 조선 건국 합리화를 위해 고려 말 왜곡(군주 중심의 역사서술) | |
고려사절요 | 김종서 정인지 | 문종 2(1452) | 고려시대 역사 | 편년체 | 고려사에 누락분 보충․추가(신하적 입장에서 서술) | |
삼국사절요 | 서거정 노사신 | 세조~성종 | 삼국시대 역사 | 편년체 | 세조는 왕권강화와 부국강병의 목적으로 고조선-고구려-고려 역사체계를 이루려 함 | |
동국통감 | 서거정 등 | 성종15 (1484) | 박혁거세~공양왕 | 편년체 | 3조선(단군, 기자, 위만)과 삼한-삼국-통일신라-고려로 이어지는 흐름, 「삼국사절요」와 「고려사절요」를 기초로 성리학적 명분론에 입각 | |
16 세 기 | (사림의) 존화주의적 사관으로 우리 역사를 소중화로, 기자 조선을 주목, 고유문화 이단시 | |||||
동국사략 | 박상 | 1474~1530 |
| 강목체 | 15세기 동국통감을 비판․요약, 엄정한 도덕적 기준으로 한국사 재정리 | |
기자실기 | 이이 | 선조 (1580) |
|
| 왕도정치의 기원을 기자에서 찾고 한국유학의 토착화에 기여 |
⑷ (조선 전기) 지도와 지리서의 편찬
지 도 | 역대제왕 혼일강리도 | 이무 | 태종 2(1402) | 요하 동쪽의 조선과 일본을 표시한 세계지도로 동양 最古 |
팔도도 | 태종 2(1402) 이회 → 세종 16(1434) 정척 → 세조 때 양성지의 동국지도 | |||
팔도지도 | 정척, 양성지 | 세조 9(1463) | 인지를 이용한 최초의 실측지도. 압록강 이북까지 기록되어 북방의 관심 표명. | |
조선방역지도 | 제용감관원 이이 외 11인 | 명종12~13 (1557~58) | 조선 8도 주현도 | |
지 리 서 | 신찬팔도지리지 | 윤준, 신색 | 세종 14 (1432) | 최초의 인문지리서. 증보한 「세종실록」에 수록. 각 지방의 연혁, 호구, 토산 등을 기록. |
팔도지리지 | 양성지 | 세조1~성종 8 (1455~1477) | ‘실록’ 지리지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왕명을 받아 제작. 동국여지승람에 묻힘. | |
동국여지승람 | 서거정, 노사신 | 성종 12(1481) | 「팔도지리지」와 「세종실록지리지」에 학교, 인물, 사묘, 시문 등 사대부의 취향이 반영된 전국 군현의 인문지리서 | |
신증동국여지승람 | 이행, 홍언필 | 중종 25(1530) | 「동국여지승람」을 증보 간행한 것이 현존 | |
읍지 |
| 16세기 | 사림의 관심이 반영되어 각 군․현을 단위로 작성된 지도 |
⑸ 법전과 윤리서, 의례서
① 조선의 법전
구분 | 시기 | 편찬자 | 특징 |
조선경국전 | 태조 | 정도전 | 여말 선초의 조례를 정리한 최초의 법전 |
경제문감 | 태조 | 정도전 | 조선의 정치 조직의 초안 |
경제육전 | 태조 | 조준, 하륜 | 여말 선초의 각종 조례를 정리한 법전 |
경국대전 | 세조~성종 | 최항, 노사신 | 조선의 기본 법전으로 세조 때 착수, 성종 때 교정․반포 |
속대전 | 영조 | 김재로 | 「경국대전」을 보완 |
대전통편 | 정조 | 김치인 | 「경국대전」+「속대전」 |
대전회통 | 고종(대원군) | 조두순 | 「대전통편」을 보완하여 편찬 |
육전조례 | 고종(대원군) | 조두순 | 「대전회통」에서 빠진 시행 규례 정리 |
② 의례서 및 윤리서
㉠ 삼강행실도(세종): 모범이 될만한 충신, 효자 등의 행적을 그림으로 그려 설명을 붙인 윤리서.
㉡ 국조오례의(성종): 가의 여러 행사에 필요한 의례 정리서.
㉢ 이륜행실도: 윤리서.
㉣ 동몽수지: 어린이 예절 윤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