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육 기관


인문 교육 기관: 중앙에 성균관과 4부 학당, 지방에 향교를 두어 각 군현의 인구에 비례하여 정원을 책정.


초등 교육: 서당

입학 대상: 사립 교육 기관으로서 사학이나 향교에 입학하지 못한 선비와 평민 자제들이 교육을 받았다.

입학 연령: 대가 8, 9세부터 15, 16세 정도였다.


중등 교육: 중앙의 4(4부 학당)과 지방의 향교.

사학(4부 학당): 중학동학서학남학이 있었으며, 정원은 각각 100명씩이었다.

㉡ 향교: 현에 각각 하나씩 설립.


③ 고등 교육성균관

명륜당: 유학 강의동 문묘: 공자 등 성현을 모신 곳 

양재: 기숙사 

존경각: 도서관 

비천당: 과거시험장



⑵ 기술 교육

교육 기관: 의학, 역학, 산학, 율학, 천문학, 도교, 회화 등으로 나누어 각각 전의감, 사역원, 호조, 형조, 관상감, 소격서, 도화서 등 해당 관청에서 교육.

학생 수와 교육 내용: 기술 교육은 군현의 크기와 지방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 수와 교육 내용을 조정.



 

2. 민족문화의 성립


민족 문화의 발달배경과 한글 창제

조선 초기 학풍: 집권층인 관학파가 과학기술과 실용 학문을 중시.

한글 창제: 1446년 반포.

 


실록의 편찬


실록의 편찬(태조실록철종실록)

태조실록: 태종때(1413) 편찬.

정종태종실록: 세종때 편찬

광해군 일기, 연산군 일기, 노산군 일기(숙종 때 단종 )

선조현종경종 수정(삭제) 실록


실록의 기록

정종태종실록 편찬 이래 춘추관에 임시관청인 실록청을 설치

왕의 사후에 사초를 정리하여 초정초의 과정을 편년체로 기록.

사초(사관이 국왕 옆에서 기록)와 시정기(각 관청의 문서를 종합하여 춘추관에서 작성)은 사관 이 외 열람 불가.


③ 실록의 보관

세 종

선조광해군

이괄의 난 이후

현재

춘추관 사고

춘추관 사고

춘추관 사고

이괄의 난 때 소실

충주 사고

오대산 사고

오대산 사고

도쿄대로 이전(1923년 지진으로 소실)

성주 사고

태백산 사고

태백산 사고

부산 국가 기록 보관소에 보관

전주 사고

(임진왜란 때 유일 보존)

마니산 사고

정족산 사고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관

김일성대학교 보존

묘향산 사고

적상산 사고


국조보감: 실록 중 역대 왕들의 선정과 훌륭한 언행만을 모아서 간행. 왕들의 정치 참고서로 이용.



⑶ (조선 전기역사서의 편찬

(혁명파 사대부의) 성리학적 사관 조선 왕조 개창의 정당화 및 성리학적 통치 규범 확립이 목적

고려국사

정도전

태조 4(1395)

고려전체 역사

편년체

고려 멸망 당위성, 조선건국 합리화

동국사략

권근

하륜

태종 3(1403)

단군고려말

편년체

단군-기자-위만-한사군-삼한-삼국으로 상고사 체계화

15

 

(관학파의) 자주적 사관으로 자주적 입장에서 고려 역사를 재정리

고려사

김종서

정인지

문종 1(1451)

고려시대 역사

기전체

조선 건국 합리화를 위해 고려 말 왜곡(군주 중심의 역사서술)

고려사절요

김종서

정인지

문종 2(1452)

고려시대 역사

편년체

고려사에 누락분 보충추가(신하적 입장에서 서술)

삼국사절요

서거정

노사신

세조성종

삼국시대 역사

편년체

세조는 왕권강화와 부국강병의 목적으로 고조선-고구려-고려 역사체계를 이루려 함

동국통감

서거정

성종15

(1484)

박혁거세공양왕

편년체

3조선(단군, 기자, 위만)과 삼한-삼국-통일신라-고려로 이어지는 흐름, 삼국사절요고려사절요를 기초로 성리학적 명분론에 입각

16

(사림의) 존화주의적 사관으로 우리 역사를 소중화로, 기자 조선을 주목, 고유문화 이단시

동국사략

박상

14741530

 

강목체

15세기 동국통감을 비판요약, 엄정한 도덕적 기준으로 한국사 재정리

기자실기

이이

선조

(1580)

 

 

왕도정치의 기원을 기자에서 찾고 한국유학의 토착화에 기여


 


⑷ (조선 전기지도와 지리서의 편찬


역대제왕

혼일강리도

이무

태종 2(1402)

요하 동쪽의 조선과 일본을 표시한 세계지도로 동양 最古

팔도도

태종 2(1402) 이회 세종 16(1434) 정척 세조 때 양성지의 동국지도

팔도지도

정척,

양성지

세조 9(1463)

인지를 이용한 최초의 실측지도. 압록강 이북까지 기록되어 북방의 관심 표명.

조선방역지도

제용감관원 이이 외 11

명종1213

(155758)

조선 8도 주현도

 

신찬팔도지리지

윤준, 신색

세종 14

(1432)

최초의 인문지리서. 증보한 세종실록에 수록. 각 지방의 연혁, 호구, 토산 등을 기록.

팔도지리지

양성지

세조1성종 8

(14551477)

실록지리지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왕명을 받아 제작. 동국여지승람에 묻힘.

동국여지승람

서거정,

노사신

성종 12(1481)

팔도지리지세종실록지리지에 학교, 인물, 사묘, 시문 등 사대부의 취향이 반영된 전국 군현의 인문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

이행, 홍언필

중종 25(1530)

동국여지승람을 증보 간행한 것이 현존

읍지

 

16세기

사림의 관심이 반영되어 각 군현을 단위로 작성된 지도

 


법전과 윤리서, 의례서


① 조선의 법전

구분

시기

편찬자

특징

조선경국전

태조

정도전

여말 선초의 조례를 정리한 최초의 법전

경제문감

태조

정도전

조선의 정치 조직의 초안

경제육전

태조

조준, 하륜

여말 선초의 각종 조례를 정리한 법전

경국대전

세조성종

최항, 노사신

조선의 기본 법전으로 세조 때 착수, 성종 때 교정반포

속대전

영조

김재로

경국대전을 보완

대전통편

정조

김치인

경국대전+속대전

대전회통

고종(대원군)

조두순

대전통편을 보완하여 편찬

육전조례

고종(대원군)

조두순

대전회통에서 빠진 시행 규례 정리


의례서 및 윤리서

삼강행실도(세종): 모범이 될만한 충신, 효자 등의 행적을 그림으로 그려 설명을 붙인 윤리서.

국조오례의(성종): 가의 여러 행사에 필요한 의례 정리서.

이륜행실도: 윤리서.

동몽수지: 어린이 예절 윤리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