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통치체제


조선의 통치구조


정치 체제의 법제화: 조선의 중앙 정치는 경국대전으로 법제화되었다.


관직등급: 문반과 무반이 있었고 18등급으로 서열화.

당상관: 왕과 함께 정책을 논의하는 자리에 참여하거나 주요 관서의 책임자가 될 수 있었다.

당하관: 실무 담당.



관계 구분: 중앙관직인 경관직과 지방관직인 외관직으로 나뉨.

㉠ 경관직국정을 총괄하는 의정부 산하 3의정과 6조가 있었음.

이조

문관의 인사

병조

무관의 인사

예조

의식외교학교과거

호조

호구와 조세

형조

법률소송 및 노비문제

공조

토목영선공장


외관직: 8도 휘하 부현으로 나뉨.


특수기관

의금부: 국가 반역죄, 왕명에 의한 양반의 치죄 담당.

승정원: 왕명출납

한성부(한성판윤): 수도행정 치안, 토지나 가옥의 소송

예문관: 왕의 교서 작성. 4관 중 하나.

교서관: 궁중의 서적 간행. 4관 중 하나.

승문원: 외교 문서 작성. 4관 중 하나.

성균관: 국립 대학. 4관 중 하나.

춘추관: 사서 편찬과 보관.



행수법의 운영

계고직비: 품계가 높은 사람이 낮은 관직에 임명되면 그 관직 앞에 자를 붙인다.

계비직고: 품계가 낮은 사람이 높은 관직에 임명되면 그 관직 앞에 자를 붙인다.


계서: 품계는 정1품에서 종9품까지 18등급으로 나뉘고, 6품 이상은 상하의 구분이 있어 총 30단계 의 계서가 있었다.



지방체제


8도 아래에 부, , , 현을 둠. 330여개의 군현 아래에는 면, 리 통(5)를 두었음.

속현 폐지: 모든 군현에 수령 파견.

특수 행정 구역 폐지: 부곡도 일반 군현으로 승격.


향리는 지방행정의 실무자로서 고려 시대와는 달리 신분상승에 제약.


중앙에서는 암행어사를 파견하기도 하였음. 자치를 위해 유향소(향청)를 운영하였고 좌수와 별감 선출. 서울에는 경재소를 두어 유향소와 정부 사이의 연락을 꾀함.

1. 관찰사(2): 도의 관할자. 절도사, 수군절도사 등의 무관직을 겸함. 중요한 정사를 제외하고서는 지방 행정상 절 대권한 행사.

 

2. 수령: 현의 지방관을 통칭하며 행정 체계상 병렬적으로 관찰사 관할 아래에 있었음.

부윤(2): 관찰사와 동격인 부의 우두머리.

대도호부사(3): 대도호부(안동, 강릉, 영흥, 영변, 창원) 를 다스리는 관직.

목사(3): 목을 맡아 다스린 문관.

도호부사(3): 전국의 도호부(경국대전에 의하면 75)를 다스리는 관직.

군수(4) 현령(5) 현감(6)

 

3. 수령의 임무: 수령의 가장 중요한 직무는 조세공납의 징수였다

농업의 장려

향리의 부정 방지

부역의 균등 고려 수령의 5(守令五事)

호구의 확보

소송의 간결

학교의 진흥

군대의 정비

 

4. 유수: 개성강화수원광주는 특별 행정 구역으로 4도라 하고 유수관을 파견하였는데, 국왕에게 직속되어 관찰사의 지시감독을 받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경관이 파견.

 

. 동양의 근세


1. (13681644)


건국: 14세기 후반에 명을 멸망시키고, 한족의 왕조를 재건.

발전: 성조 영락제 시대에 전성기, 정화의 남해 원정으로 명의 국위를 인도양과 아프리카 동해안까지 떨침.

쇠퇴: 북의 몽고, 남의 왜구, 16세기 말 임진왜란 출병으로 국력 약화.

멸망: 17세기 여진족이 세운 청이 중국을 지배

 

 


. 조선 전기의 정치


1. 근세사회의 전개


조선 건국의 배경

고려 말 신진 사대부의 분화: 신진 사대부들은 공양왕 옹립사전개혁 문제(결정적)로 이색의 온건론 과 정도전의 급진론으로 분화. 사전 개혁을 둘러싸고 대립하던 두 세력은 공양왕 옹립 과정에서 이성 계 세력이 온건파를 축출하고 공양왕을 옹립.

 


과전법의 실시


추진 과정: 이성계를 중심으로 혁명파 사대부 세력은 우왕과 창왕을 잇따라 폐하고 공양왕을 세운 후 (폐가입진) 전제 개혁을 단행하여 조준, 정도전 등이 과전법을 마련.


② 과전법의 역할

구세력과 재야 세력 무마

사대부 우대: 휼양전, 수신전 지급.

농민 우대: 농민에 대한 배려로 경작권을 보호하고 조세율을 조정.

과전법의 결과: 고갈된 재정이 확충되고 신진 관료들의 경제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피폐한 농민 생활 이 개선되었고 국방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조선의 개창: 혁명파는 온건 개혁파를 제거하고 도평의사사를 장악하였다. 이후 이성계는 공양왕의 왕 위를 물려받아 조선을 건국하였다(1392).

 


전제왕권을 위한 노력


태조(13921398) 때 정도전을 중심으로 한 개혁

태조의 3대 정책: 숭유 억불 정책, 중농 억상 정책, 사대교린 정책.

유교를 바탕으로 한 재상중심의 정치 주창(조선경국전)

도읍지의 궁전과 도성문에 명명, 군제와 병법 개혁

요동정벌을 위한 전쟁을 준비

㉤ 「불씨잡변을 저술하여 불교 비판, 성리학을 통치규범화.

 


태종(1400-1419)의 개혁정치

등극전

태종시

위화도 회군시 최영부대 공격주도

정몽주 살해 개국반대세력 제거

공양왕 폐위 이성계 등극주도

사병 혁파, 군사권을 삼군부로

부곡 폐지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정무 이전

중추원을 삼군부로 고쳐 정무 담당

노비변정사업 실시

 

한양 재천도 호패법 실시, 양전사업

선원록 정비 왕위계승권 확립

억불숭유책

육조직계제 실시(6조에서 직접 왕명하달)

사간원을 독립시킴 거북선 개발

원육전속육전(하륜)태조실록 편찬

5부학당 설치 아악서 설치

사원 토지 몰수, 노비 해방

서얼 차대법, 삼가 금지법 제정.

1. 1차 왕자의 난(1398 무인년 8)

방원을 필두로 강씨 왕자들의 지지세력이었던 정도전, 남은 등을 죽이고 세자 방석과 방번마저 살해한 <방원의 난> 또는 <무인정사>. 방원은 일단 방과를 정종(13981400)으로 내세웠고 왕족들의 사병을 혁파하려 하였으며 이 는 2차 왕자난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2. 2차 왕자의 난(14001)

방원의 바로 윗 형인 방간이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가 방원에게 제거되는 <방간의 난> 또는 <박포의 난>. 박포 라는 자가 1등공신이 되지 못하자 방간을 꾀어 난을 일으킴. 방원의 일방적 승리로 끝나고 박포는 바로 사형, 방간 은 유배. <함흥차사> 라는 말 생김.

 




세종(14181450)의 왕도정치

집현전을 통하여 인재 다수 배출: 집현전은 연구경연서연 담당, 일부는 사관 업무, 사령의 제찬과 중국의 고제 연구.

6조직계제를 의정부서사제로 바꾸고 인사와 군사는 왕이 처리하는 왕권신권 조화 이룸.


 

통치제제의 확립


문종(14501452): 29년을 세자로 지내다가 왕위 등극, 3년만에 승하.


단종(14521455): 정치의 실권은 김종서, 황보인 등 재상에게 넘어감.


세조(14551468): 수양대군은 계유정난(계유사화, 1453)을 일으켜 김종서 등을 몰아내고 등극.

의정부서사제에서 육조직제계로 바꾸고 집현전경연 폐지.

㉡ 「국조보감편찬, 경국대전의 호전과 형전을 완성.

유향소 폐지: 이시애의 난(1467) 이후 폐지.

경제사회 정책: 직전법의 시행, 인지의 발명, 호패호적 제도 강화.

국방 강화책: 보법의 제정과 5위제 및 진관 체제 실시.


예종(14681469): 세조의 둘째 아들로서 경국대전 완성.


성종(14691494): 문물제도 완전 정비.

집현전의 후신인 홍문관 설치: 서적관리, 정치 고문, 정승과 주요 관리를 경연에 참가시킴.

경국대전을 편찬, 반포.

공무원 기출&예상 단어 26 (ostentatious~overland)


ostentatious 허세부리는,과시하는
ostracize 추방하다
outburst 폭발,분출
outcast 버림받은사람,추방자
outcry 부르짖기,비명
outdated 시대에 뒤진,진부한
outdistance ~을 훨씬앞서다
outdo ~을 능가하다
outgoing 떠나는,출발하는
outing 소풍,야유회
outlandish 이국풍의,색다른
outlast ~보다오래가다(살다)
outlaw 무법자,금지하다
outlay 지출
outlive ~보다오래살다
outmoded 유행에뒤떨어진
out-of-date 시대에 뒤떨어진,케케묵은
outpost 전초지점
outrageous 매우모욕적인,잔인무도한,엉뚱한
outright 분명한,솔직한

outset 시작,최초
outshine ~보다 더 빛나다,~보다 더 뛰어나다
outskirt 주변,교외
outspoken 거리낌없는,솔직한
outstretched 펼친,뻗친
outstrip ~을 능가하다,~에 이기다
outweigh ~보다뛰어나다
overall 전체의,총체적인
overbearing 거만한,오만한
overcast 흐리게하다,흐린,음침한
overcharge 부당한 값을요구하다,짐을 너무많이 싣다
overcrowd 너무 많이 들이다
overdue 기한이지난,늦은
overestimate 과대평가하다
overhang 걸쳐있다 내밀다,위협하다,돌출
overhaul ~을 철저히 조사하다
overhear 귓곁에 듣다
overindulge 지나치게 내버려두다
overland 육로의


공무원 기출&예상 단어 25 (obese~ostensible)


obese 비만인
obfuscate ~을 혼란시키다,당황하게하다
obituary 부고
objurgate 엄하게 질책하다
oblation 봉헌물,기증
oblige ~에게 강요하다,~을 고맙게 여기다
oblique 비스듬한,기울어진
obliterate 말소하다,삭제하다
oblivion 잊혀진상태,망각
oblong 옆으로긴,타원형의
obloquy 오명,불명예
obnoxious 아주싫은,불쾌한
obscene 외설한,음란한
obsequious 아부하는,비굴한
obsess ~에들다,~에 붙어괴롭히다
obsolete 사라진,구식의
obstetrician 산부인과의사
obstinate 완고한,고집센

obstruct 막다,방해하다
obtrude 강요하다,주제넘게 나서도록하다
obtuse 무딘,둔한
obviate 제거하다,미연에 방지하다
occidental 서양의
occult 신비로운,불가사의한
officious 참견잘하는
offspring 자식,자손
ominous 불길한
omnibus 염가판작품집,옴니버스,총괄적인
omnipotent 전능한
omnipresent 편재하는,어디에나 존재하는
omniscient 전지의,박식한
omnivorous 무엇이나먹는,잡식의
opaque 불투명한
opponent 대립자,반대의
opportune 알맞은,시기 적절한
opprobrious 모욕적인
opulent 풍부한
ordinance 법령
ostensible 표면상의,곁으로만의,분명한,명백한


5. 근대적 경제생활로의 변화(2)


상업활동의 주역 - 공인과 사상


공인(대동법 실시 이후 나타난 어용 상인)

선혜청상평창진휼청호조 등에서 공가를 받아 물품을 사서 국역으로 세금을 납부.

계를 조직하고 상권을 독점, 물품을 수공업자에게 위탁하여 수공업 성장을 뒷받침.

시전지방 장시를 중심으로 발전, 독점적 도매상인인 도고로 성장.



사상(18세기 이후에 각지에서 활동)


사상의 등장: 17세기 초 도시 근교의 농어민이나 소규모 생산자의 제품을 행상 직판


중도아 등장: 농촌에서 도시로 유입된 인구의 일부가 상업으로 삶을 이어 가고자 하여 시전에서 물건을 떼어다가 파는 중도아가 되기도 하였다.


사상의 활동과 시전의 대책: 후반부터 이현(동대문안), 칠패(남대문 밖), 종루(종로 근방) 등에서 종 래의 시전과 대립. 시전은 금난전권으로 사상을 억압하려 하였으나 사상은 정부와 결탁하여 점포 창설 또는 금난전권의 적용지역을 회피하여 상권 확대.


신해통공(1791):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의 금난전권 철폐.


㉤ 사상의 발전과 종류: 일부가 도고로 성장(만상, 송상, 내상)하여 칠패, 송파 등 도성 주변에서 활동.

객주: 지방의 상업 도시에서 도매, 위탁 판매, 창고, 운송, 숙박, 금융업에 종사하는 도고로서 객상 을 유숙시키기도 하였으며, 개항 이후에는 국제 무역도 담당.

여각: 전국에 퍼져 있는 여인숙으로 숙박업과 더불어 객주와 같은 기능 담당.

경강 상인: 한강을 근거지로 서남 연해안을 오가며 미곡, 소금, 어물 운송판매와 조선.

송상: 주요 상업중심지에 송방(지점)을 설치하여 포목 장악, 인삼을 재배판매하고 대외무역에도 관여.

만상(의주): 대청무역, 내상(부산): 대일무역, 유상(평양)



도고의 성장은 상인의 계층분화 요인이 되었고, 산업 자본주의 발달 전 단계로 성장을 유도.




장시의 형성

18세기 말에 송파장(광주), 원산장(덕원), 강경장(은진), 마산포장(창원) 등이 주요 장시로 부상.

보부상은 전국의 농촌 장시를 하나의 유통망으로 연계시켰고 보부상단 결성.


 

포구에서의 상거래

장시보다 더 큰 규모로 상거래 시행. 18세기 이후 상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상업중심지로 성장.

칠성포, 원산포, 강경포 등의 포구에서 장시가 열리기도 함. 포구에서 선상, 객주, 여각 등이 활동.

 


⑷ 대외무역 활기

대청

무역

17세기 중엽부터 활발, 공무역(경원개시, 회령개시, 중강개시)사무역(책문후시, 중강후시) 실시

수입품

비단, 약재, 문방구

수출품

, 종이, 무명, 인삼

대일

무역

기유약조(1609) 이후 왜관을 중심으로 왜관개시 실시

수입품

, 구리, , 후추

수출품

인삼, , 무명, 청제품의 중계무역

 

서울 유숙소

국경 유숙소

중국

태평관

개시, 후시

여진

북평관

무역소

동평관

왜관



화폐의 보급

18세기 후반 상평통보의 대중화: 유통이 잘 되지 않아 전황 현상이 발생.

대규모 상거래에서 환어음 등의 신용화폐가 이용되기도 하였다.

4. 근대적 경제생활로의 변화(1)


⑴ 양반 중심의 지대 변화

타조법

수확량의 1/2 납부

 

지주의 간섭이 심하여 작인에게 불리

도조법

수확량의 1/3 등 납부

18세기 일부 지방

지주에 대항한 농민의 권리 강화

도전법

조를 화폐로 납부

18세기 말 이후

지주와 전호의 관계가 자유로운 관계로 바뀜

 


농업경영의 활성화


밭농사의 변화: 농종법이 견종법(밭고랑에 작물 재배)으로 변화.


직파법에서 이앙법으로의 변화

경작면적이 5배로 증가, 노동력은 80% 감소

벼와 보리의 이모작을 가능케 하였고 보리는 수취대상이 아니어서 선호.

㉢ 정부는 이앙법을 억제하였으나 농민들은 계속 확산. 18세기 말 전국의 저수지는 6천여소.

현종 3(1662)

조복양의 건의로 조선초의 제언제조를 확충하여 제언사 설치

정조 2(1778)

제언절목을 반포하여 많은 제언을 수리하고 신축

정조 12(1788)

송금절목을 반포하여 수원자원 이외에 산림녹화 강화


농기구와 거름의 발달

쟁기, 써레, 쇠스랑, 호미의 보급

조선 후기에 퇴비, 분뇨, 석회 등의 거름과 양이 많아짐.


상업작물(18C)과 구황작물

곡물, 목면, 채소, 인삼, 담배(17C초 일본), 고추, 과실, 약초 등 상업작물 발달.

쌀의 상품화가 발달하여 밭을 논으로 바꾸는 현상이 활발. 면화는 삼남지방과 황해도에 집중 재배.

구황작물인 감자(헌종 때 청에서)와 고구마(1763 조엄이 일본에서)의 재배 증가


농민층의 분화

일부 농민들은 지주에게 토지를 빌려 광작을 하였다.

대다수의 농민은 상공업에 종사하거나 임노동자로 전락.


 


민영수공업의 발전


① 관영수공업의 추이조선 후기에는 사장제가 성장 대표적으로 무기나 자기 분야.

15세기

관영수공업은 부역제를 토대 부역제의 변동과 상품화폐경제의 진전에 따라 퇴보

16세기 전후

등록 기피와 정부의 재정악화 및 사장의 대두 관영 체제 유지 곤란 사장 발달

18세기 말

공장안 폐지(정조), 관영 수공업장에도 사장 고용(17C) 수공업자는 납포장화(대동법으로 생산활동 더욱 호전)


② 민영수공업

선대제 수공업

상인들로부터 주문과 함께 원료와 자금을 선대 주로 종이, 화폐, 철물 분야

독립 수공업

18세기 후반 농기구모자놋그릇장도 제조분야에서 대두

농가 수공업

부업 형태에서 상품 생산활동으로 주로 직물과 그릇 종류 생산

 


민영 광산의 개발


15세기(조선 초): 

국가가 직영, 사적 광산 통제 

정부의 수요액수 설정 후 수령들이 농민 동원.


16세기 이후

농민들의 부역 거부 

정부의 사채 허용으로 개발 촉진, 대청무역에서 은의 수요 증가로 개발 성행(호조의 은광 관장)


17세기 중엽 이후

잠채가 성행하자 효종(1651)때 호조 비용으로 설점 채굴 

관리인(부상)을 보내 운 영하는 별장제를 두어 사채를 허용 설점수세 실시


18세기 중엽 이후: 

사채 금지(별장제 폐지, 수령수세제 1775) 

잠채 성행, 덕대제(덕대-물주-혈주-노동자)

3. 국가 경제정책의 변화


전세제도의 개편


조선 후기 농촌의 현실

농토가 왜란 직전 150만결 30만결

삼수미세(1결당 2.2)

정부의 개간사업 장려 관리나 토호의 지주전호제 확대로 농민만 부담.


영정법(1635)

전분6연분9등법의 폐단, 16세기 최저세율 적용, 전란후 농토 황폐화와 면세지 확대.

전세를 1결당 미곡 4두로 경감.

또한 양전사업의 결과로 광해군 때 54만결에서 인조 120만결, 숙종 140만결로 증가.

전세율은 줄었으나 삼수미세, 대동미세, 결작세등 부가세와 지주전호제가 계속되어 전호의 부담은 여전.



대동법


공납을 토지 소유 결수에 따라 미(납부가 어려우면 포)로 바치게 한 것으로 공납제가 전세화.


실시 과정

조광조의 주장

이이의 대공수미법 주장

광해군(1608) 때 이원익이 건의하여 선혜청에서 경기도에 16두 실시.

인조(1624) 때 조익이 건의하여 강원도에서 시행

효종때 김육이 건의하여 충청도(1651), 정태화의 건의로 전라도(1658)에서 실시

숙종(1677) 때 허적이 건의하여 전국적으로 12두 실시. 평안도와 함경도는 제외.

시행이 지연된 이유: 양반 지주들의 반대가 심하여 이들의 이해를 배려하면서 확대시행하였기 때문이다.


정부는 수납받은 것을 공인에게 지급하여 물품 조달. 공인이 부를 축적하고 선대제수공업이 발달, 삼 랑진강경원산 등이 상업도시로 발전.


대동법으로 인한 변화와 한계.

토지 많은 지주의 부담은 커지고 가난한 농민의 부담은 경감. 국가 수입 증대.

농민들이 상품 화폐에 편입, 농민층의 분화.

진상이나 별공은 존속, 지방 관청에서도 수시로 특산물 징수.

유치미의 설정으로 지방재정 확충, 상납미가 증가하여 관아의 재정이 더욱 악화되면서 수령아전 의 수탈이 다시 가혹화.


 


군역제의 개편


군역의 폐단

중앙군(소모군)의 경비를 양인장정이 납부하는 군포(16개월에 2)로 충당하면서 용병제 실시로 양 인의 납포군화 현상이 심해지자 군포 징수 문란 심화.

군포의 유용: 군포 수입이 모두 5군영의 군사비로 쓰이는 것이 아니라 일반 경상비로 쓰이는 경우 가 많았다.

군포의 차별 징수: 소속에 따라 2, 3필 등으로 달랐다.

군포액의 증가: 양반이 되어 면역하는 자가 늘어나면서 군역의 재원이 점차 감소. 게다가 전국의 장정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였다.

국가는 부락단위로 군포를 할당하여 마을은 연대책임을 부담, 군적의 부실로 농민은 중복부담.

수령과 아전의 농간으로 인징, 족징, 황구첨정, 백골징포, 마감채, 강년채의 폐단을 겪음.

농민의 파산과 유망 촉진


양역 변통론의 대두

농병 일치론: 공전제에 입각한 농병 일치로 환원하자는 유형원의 주장으로 토지 개혁을 전제로 하 는 것이어서 실현되지 못하였다.

호포론: 양반층에도 군포를 부담시키자는 주장으로 영조와 일부 관료들이 시도하였지만 대다수 양 반들이 군포 부담을 반대하여 시행되지 못하였다.

균역법의 실시

숙종 이후로 양역변통론이 대두되어 영조 때 균역법 시행(1750). 1년에 군포 1필 납부.

면제되었던 일부 상류층에 선무군관(1) 징수. 지주에게서 결작으로 결당 미곡 2(5) 징수. 어 세염세선세를 균역청에서 징수.

농민이 결작을 부담하고 군액의 증가로 폐단이 부활. 농민은 유민화하거나 양반 신분을 매수.


<봉족제>

군역의 요역화

 

대립제의 양성화 현상

방군수포제의 전국적 확대

양역변통론 대두

 

 

양인개병제

(15C )

대립제
(15C )

방군수포제

(16C)

군적수포제

(1541 중종)

균역법

(18C)

동포제

(19C)

정병봉족

 

 

군포 2폐단

전국 농민장정 1년에 2

 

1, 결작, 해세(선어염세), 선무군관

지주 결당 2


공무원 기출&예상 단어 24 (morbid~obeisance)


morbid 병적인
mordant 신랄한
moribund 소멸해가는
morose 시무룩한
mortician 장의사
mortify 굴욕감을 느끼게하다
muddle 뒤죽박죽을 만들다
multiform 다양한
multilateral 다변의,다국간의
multilingual 수개국어를하는
multiloquent 수다스러운
multiply 배가시키다,증가시키다
mundane 세속적인
munificent 아낌없이 주는
mutilate 불구로 만들다
myriad 무수한
nauseate 구역질나게 하다
nefarious 극악한

neocolonialism 신식민주의
Neolithic 신석기시대의
neologism 신조어
neophyte 신개종자,초보자
nepotism 연고자등용,친척등용
niggardly 인색한
nocturnal 밤에 활동하는
nonchalant 무관심한,태연한
non-committal 언질을 주지않는,막연한
nonconformist 따르지않는(사람)
nonflammable 불연성의
nonmoral 도덕과관계없는
nonpareil 비길데 없는
nonplus 당황하게하다,당혹,난처
nonviolence 비폭력
nostalgia 향수
notorious 유명한
novice 초심자
noxious 유해한
obdurate 완고한,고집센
obeisance 인사,경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