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귀족 문화
⑴ 문학의 발달
① 고려 시대 한문학의 추이(고려는 한문학이 가장 융성하던 시대)
㉠ 전기: 독자적이고 자주적인 모습
㉡ 사회가 귀족화되며 당시송문을 모방하는 보수화.
㉢ 무신 집권기: 문신들의 좌절감이 낭만적․현실 도피적인 수필 형식에 나타남(국순전, 파한집).
㉣ 최씨 집권기: 정계에 등용된 문신들이 현실을 표현하는데 관심을 기울임.
㉤ 고려 후기: 신진 사대부들이 경기체가를 창작. 패관문학, 가전체가 유행.
작품명 | 작가 | 연대 | 내용 | 작품명 | 작가 | 연대 | 내용 |
국순전 | 임춘 | 인종 | 술을 의인화 | 죽부인전 | 이곡 | 공민왕 | 대나무 의인화 |
공방전 | 임춘 | 인종 | 엽전을 의인화 | ||||
저생전 | 이첨 | 고려말 | 종이 의인화 | ||||
국선생전 | 이규보 | 고종 | 술과 누룩을 의인화 | ||||
정시자전 | 석식영암 | 고려말 | 지팡이 의인화 | ||||
청강사자현부전 | 이규보 | 고종 | 거북을 의인화 |
작품 | 작가 | 연대 | 내용 | 작품 | 작가 | 연대 | 내용 |
수이전 | 박인량 | 문종 | 최초의 설화. 삼국유사, 해동고승전에 일부 전함 | 역옹패설 | 이제현 | 충선왕 | 패관문학의 대표작으로 「익제난고」 마지막 부분에 수록 |
파한집 | 이인로 | 고종 | 시화, 문담, 경주․평양․개성의 풍습 소개 ⇨ 자주정신 강조 | 익제난고 | 이제현 | 충선왕 | 역사책에 나오지 않는 이문, 인물평, 시문 등을 기록한 문집 |
보한집 | 최자 | 고종 | 야사, 기생 이야기(파한집 보충) | 목은집 | 이색 | 충숙왕 | 시문집 55권 |
백운소설 | 이규보 | 고종 | 시화와 문담 수집 | ||||
동국이상국집 | 이규보 | 고종 | 동명왕편과 상정고금예문의 내용이 실려 있음 | 포은집 | 정몽주 | 공양왕 | 시문집 4권 |
장르 | 작품 | 지은이 | 내용 | 비고 | 장르 | 작품 | 지은이 | 내용 |
경기 체가 | 한림별곡 | 한림제유 | 귀족 풍류생활 | 고종 | 고 려 가 요 | 청산별곡 | ? | 현실도피, 짝사랑 노래 |
죽계별곡 | 안축 | 고향 경치 | 충숙왕 | 서경별곡 | 평양에서의 이별가 | |||
관동별곡 | 안축 | 관동 경치 | 충숙왕 | 쌍화점 | 남녀상열지사 | |||
장가 | 정과정 | 정서 | 충신연주지사 | 향가계 고려가요 | 동동 | 남녀상열지사 | ||
처용가 | 신라 처용가의 발전 | |||||||
사모곡 | 어머니의 자식 사랑 | |||||||
도이장가 | 예종 | 개국공신 추도 | ||||||
가시리 | 이별가 | |||||||
정석가 | 왕의 수복을 기원 |
작품명 | 종류 | 작자 | 연대 | 내용 |
동명왕편 | 서사시 | 이규보 | 명종 | 자유로운 문장체, 동국이상국집에 실림 |
|
| 진화 | 명종 | 문화적 자신감을 표현 |
제왕운기 | 서사시 | 이승휴 | 충렬왕 | 상권에는 중국의 역대를 하권은 우리나라의 역대를 서사시로 |
동국이상국집 | 문집 | 이규보 | 고종 | 전 53권의 문집으로 ‘동명앙편’ 수록 |
균여전 | 전기 | 혁연정 | 문종 | 보현십원가 11수 수록 |
⑵ 건축과 조각의 변화
① 고려시대의 건축
주심포 양식 | 통일신라 시대에 전래, 고려 전기 유행. 맞배지붕이 대부분이면서 장중하고 우아하며 간소함.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음.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신라계승), 수덕사 대웅전(모란․들국화 벽화) |
다포양식 | 원 간섭기 이후 전래, 조선 전기 유행. 우직각, 팔작지붕이 대부분이고 주심포보다 화려하면서도 장엄. 공포가 기둥 사이에도 있음. 석왕사 응진전, 성불사 응진전, 심원사 보광전 |
㉠ 궁궐과 사원이 중심이었으나 현전하는 것이 거의 없다. 고려의 건축은 경사진 지대에 층단식으로 지었고, 배흘림 기둥, 처마 끝과 주춧돌의 각도를 30° 내외로 조절하여 태양광선의 흡수가 용이.
건축물 | 전기 | 궁궐과 사원이 중심이었으나 남아있는 것이 거의 없다 ∙현화사와 흥왕사(흥왕사는 12년에 걸쳐 막대한 인원과 경비로 제작) ∙개성 만월대의 궁궐 터로는 웅대한 모습을 살필 수 있다 | |
후기 | 13세기 이후에 지은 건물들은 일부 남아 있다 ∙봉정사 극락전(안동, 최고의 목조건축물, 주심포양식의 엔타시스 기둥) ∙부석사 무량수전(영주, 고려의 대표적 건축물, 주심포, 신라를 계승한 고려 제일의 작품) ∙부석사 조사당(영주, 목조건축물로서 벽에 사천왕상, 보살상 벽화) ∙수덕사 대웅전(예산, 대표적 건축물로 모란, 들국화 벽화) ∙석왕사 응진전, 석불사 응진전, 심원사 보광전(셋 모두 원의 영향 받은 다포양식) | ||
석 탑 | ∙개성 불일사 5층 석탑 ∙흥국사지 석탑: 신라 양식 계승 ∙현화사 7층 석탑, 월정사 8각 9층탑: 평면이 8각이나 6각의 형태(송의 영향) ∙경천사 10층 석탑: 목조건축양식을 본뜸(원의 영향) ∙대부분의 석탑: 탑신이 높고 옥개석이 작음, 옥개석만 포개놓은 듯함, 다각다층탑이 다수 | ||
부 도 | ∙지광국사 현묘탑․흥법국사 실상탑․공주 갑사부도 ∙구례 연골사지 북부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 혜진탑 | ||
불 상 | ∙대형 철불: 광주 춘궁리 철불 ∙대형 석불: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안동의 이천동 석불 등이 지역 특색을 잘 드러냄 ∙부석사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 | 주로 석불과 금등불이 주류, 대형 철불 주조도 유행. 조형미는 신라보다 퇴화. 자유 분방함과 향토적 특색의 불상이 다수. |
⑶ 공예의 발달
① 자기의 발달: 고려 자기는 신라와 발해의 기술을 토대로 송의 자기 기술을 받아들여 11세기에 독자적 인 순수청자를 개척.
순수청자 | 음각청자 | 상감청자 (원료 산지로 강진․부안 유명) | 분청사기 (원 북방가마) | 순수백자․청화백자 | 철사백자․진사백자 |
| 11C | 12~13C | 15C전후 | 17C |
|
※ 서긍의 「고려도경」(1123)에서는 고려자기(비색 청자)에 대해 상세 설명하면서도 삼강청자에 대한 언급이 없다. |
② 은입사 기술과 나전 칠기 공예도 발달
③ 범종: 신라 양식을 그대로 계승하였음. 천흥사종, 용주사종, 탑산사종 등이 유명.
귀족문화 | ① 유교문화와 불교문화의 융합 ② 지방호족들이 문화의 주역으로 등장 ③ 문화의 폭이 확대 ④ 공예미술(나전칠기, 고려자기, 불교미술) 발달 | 지방문화 |
∙불교회화 ∙고려청자 ∙금속공예 | ∙양류 관음상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소박한 토기 ∙둔마리 고분벽화 ∙청동 은입사 포류 수금무늬 정병 |
송 → 고려 | 인쇄술 | 의천에 의해 속장경 조판 | 원 → 고려 | 화약 | 최무선이 원상인 이원에게서 |
은입사 | 청동제품에 상감 | 수시력 | 역법(칠정산내외편) | ||
월정사 8각9층 석탑 | 다각다층탑 대표 | 목화 | 정천익 재배 의생활에 혁신 | ||
대성악(=아악) | 궁중 음악 | 아라비아(사라센) 문화 | 아라비아 숫자 등 조선 산술발전 | ||
도자기 | 상감기법은 고려 독자적 | 임제종 | 공민왕 왕사 보우가 전래 | ||
| 송설체 | 고려후기 유행 조맹부의 서체 | |||
경천사지 10층 석탑 | 라마불교의 영향, 원각사지 탑원형 | ||||
농상집요 | 이암이 화북농법 소개 | ||||
성리학 |
| ||||
천산대렵도 | 북화의 영향으로 필치가 뚜렷 | ||||
석왕사 응진전 | 다포양식으로 조선 건축에 영향 |
⑷ 서체․그림․음악
① 서체
초기 | 구양순체 | 굳세고 힘찬 글씨체로 최우, 유신, 탄연 등이 유명 |
왕희지체 | 홍근, 석혼수 | |
후기 | 조맹부체 | = 송설체, 유려한 글씨체로 이암, 이강 등이 유명 |
② 그림: 도화원 소속 전문화원과 문인이나 승려의 문인화로 양분. 후기에는 사군자 중심(부전)
∙이령의 예성강도: 현재 부전 ∙공민왕의 천산대렵도: 원대 북화에서 영향 ∙불화: 혜허의 관음보살도가 대표적 작품 ∙사경화(불경 삽화)의 유행 ∙사찰과 고분의 벽화: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사천왕상과 보살상이 유명 |
③ 음악: 아악(송에서 수입하여 궁중음악으로 발전), 향악(당악의 영향을 받은 속악), 악기는 송에서 40종.
④ 가면극과 산대극: 처용무, 산대극이 널리 유행.
'한국사 > 고려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경제사 1 - 심경법, 시비법, 일역전, 재역전, 역분전, 전시과(시정, 개정, 경정), 경시서, 광학보, 제위보 등 (0) | 2018.11.30 |
---|---|
고려 사회사 1 - 문벌귀족, 무신집권,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중간계층, 양민, 향소부곡민, 천민 등 (0) | 2018.11.30 |
고려 문화사 3 - 과학 기술, 인쇄술, 상정고금예문, 농업기술, 화약제조 (0) | 2018.11.29 |
고려 문화사 2 - 불교, 화엄종, 천태종, 조계종, 대장경판, 도교, 풍수지리설 (0) | 2018.11.29 |
고려 문화사 1 - 유학(최언위, 최지몽, 최승로, 최충, 김부식), 성리학 / 문신월과법, 문헌공도, 서적포, 양현고 / 역사서 등 (0) | 201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