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
⑴ 유학의 발달(치국의 이념)
초기 (자주적, 주체적) | 태조 | 최언위, 최응, 최지몽 등의 6두품계통 유학자들 |
광종 | 과거제도로 유학에 능숙한 관료들이 등용. 문필을 담당하는 문한 기구 정비. | |
성종 | 유교정치사상 정립, 교육기관 정비. 최승로의 시무 28조. | |
중기(보수적) | 최충(문종) | 해동공자. 9재 학당 설립. 훈고학적 유학에 철학적 경향 불어넣음. |
김부식(인종) | 보수적이면서 현실적인 유학. | |
후기(위축) | 무신 정변 후 문벌 귀족 몰락 | |
말기 | 성리학 |
⑵ 교육 제도
① 교육 기관의 정비
㉠ 태조: 건국 후 신라 계통의 학자 등용, 개경 과 서경에 학교 설립
㉡ 성종
ⓐ 교육 조서의 반포
ⓑ 지방 교육: 향교 설치
ⓒ 문신 월과법 시행. 개경에는 비서성, 서경 에는 수서원 등 도서관 설치
성종이 중앙의 문신들에게 매월 시 3편과 부 1편을, 지방 관리들에게는 1년에 1회씩 글을 지어 바치게 했던 제도. |
② 사학의 발달과 관학 진흥책
관학 | 중앙 국자감, 지방 향학 | |
사학 | 최충의 9재학당(문헌공도), 사학 12도 | |
관학진흥책 | 숙종 | 국자감에 서적포 설치 서적 간행 |
예종 | 9재 모방 7재 설치, 국자감을 국학 개칭, 양현고(장학재단), 청연각․보문각(도서관+학문 연구소) | |
인종 | 개경에 경사 6학 정비, 향교를 중심으로 지방 교육을 강화 | |
충렬왕 | 양현고의 부실을 보충하기 위한 재단 섬학전 설치, 국학을 성균관 개칭, 공자 사당인 문묘 건립. | |
공민왕 | 성균관 부흥 |
⑶ 사서의 편찬
전기 | 유학의 발달과 더불어 유교적 역사서술체계 확립 | |
7대실록 | 거란의 침입으로 불타자 현종은 태조~목종대의 실록을 새로 간행(부전) | |
편년통록 | 고려 의종때 김관의의 저작으로 왕실 권위확보(왕건 가계)와 고려왕조 중흥 기원을 빈 유교적 서술(부전) | |
기타 | 「편년통재」 (작자 미상, 부전), 「고금록」(문종, 박인량, 부전), 「속편년통재」(예종, 홍관, 부전) | |
중기 | 삼국사기 | 현존하는 한국 최고의 역사서. 여초 구삼국사를 기본으로 한 기전체 사서. |
후기 | 무신난, 대몽항쟁 이후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목적으로 편찬 | |
삼국유사 | 단군을 민족시조로 내세움 | |
제왕운기 | •충렬왕 13년(1287) 이승휴가 유교적 입장에서 중국(상권), 한국(하권)의 현전 역대 서사시. •상권: 반고~금, 하권: 단군~충렬왕까지의 역대와 사적을 7언 또는 5언시로. •단군을 개국의 국조로, 발해를 국사로 부각하는 역사적 자주성이 있으나 원의 지배와 충렬의 치세를 ‘개발기발무유벽’이라고 칭송하는 한계. | |
해동고승전 | 고종. 각훈. 왕명에 의해 우리 불교사상을 종교적 입장에서 정리(2권 현전) | |
동명왕편 | 이규보가 동명왕을 칭송한 일종의 민족서사시. | |
말기 | 정통 의식과 대의명분을 강조하는 성리학적 유교사관이 대두 | |
사략 | 이제현 저술. 지금은 사략에 실린 사료만 현전. 왕권을 중심으로 국가 질서를 회복의식. |
고려 초기 | 고려 중기 | 무신집권기 | 대몽항쟁기 | 고려 말기 |
고구려 계승의식 | 신라 계승의식 | 고구려 계승의식 | 고조선 계승의식 | |
유교사관 「삼국사기」 | 자주사관 「동명왕편」「삼국유사」「제왕운기」 | 성리학적 사관 「고려국사」「동국사략」 |
⑷ 성리학의 수용
기존사상의 한계 | 불교는 지나치게 관념론(理)에 흐르고 도교는 양생(氣)에 치우쳐 편파적, 성리학은 양자를 통합한 객관적 관념론의 철학체계이자 진보적 윤리체계임. | |
수입 | 고려 충렬왕 때 안향이 최초로 수입 | |
발전 | 충선왕 | 백이정, 이제현, 박충좌 → 염복․원명선․조맹부와 사귀고 돌아옴 |
충숙왕 | 안축, 이곡, 이색 → 성리학 심화 | |
공민왕 | 정몽주, 정도전, 이숭인 → 성리학 연구․교육의 본격화 | |
영향 | 종래의 훈고학적인 유학이 철학적인 유학으로 변화 | |
분열 | 온건파(후에 사림파)와 급진파(후에 관학파)로 나뉘어 대립 | |
여말선초의 성리학 | 실천적 기능을 강조, 소학과 주자가례를 권장하고 볼교의 폐단을 비판, 불교를 대체한 새로운 국가 이념으로 부상. |
'한국사 > 고려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경제사 1 - 심경법, 시비법, 일역전, 재역전, 역분전, 전시과(시정, 개정, 경정), 경시서, 광학보, 제위보 등 (0) | 2018.11.30 |
---|---|
고려 사회사 1 - 문벌귀족, 무신집권,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중간계층, 양민, 향소부곡민, 천민 등 (0) | 2018.11.30 |
고려 문화사 4 - 문학, 건축, 조각, 공예, 서체, 그림, 음악 (0) | 2018.11.30 |
고려 문화사 3 - 과학 기술, 인쇄술, 상정고금예문, 농업기술, 화약제조 (0) | 2018.11.29 |
고려 문화사 2 - 불교, 화엄종, 천태종, 조계종, 대장경판, 도교, 풍수지리설 (0) | 2018.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