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학의 발달과 역사서

유학의 발달(치국의 이념)

초기

(자주적,

주체적)

태조

최언위, 최응, 최지몽 등의 6두품계통 유학자들

광종

과거제도로 유학에 능숙한 관료들이 등용. 문필을 담당하는 문한 기구 정비.

성종

유교정치사상 정립, 교육기관 정비. 최승로의 시무 28.

중기(보수적)

최충(문종)

해동공자. 9재 학당 설립. 훈고학적 유학에 철학적 경향 불어넣음.

김부식(인종)

보수적이면서 현실적인 유학.

후기(위축)

무신 정변 후 문벌 귀족 몰락

말기

성리학



교육 제도


교육 기관의 정비

태조: 건국 후 신라 계통의 학자 등용, 개경 과 서경에 학교 설립

성종

교육 조서의 반포

지방 교육: 향교 설치

문신 월과법 시행. 개경에는 비서성, 서경 에는 수서원 등 도서관 설치

성종이 중앙의 문신들에게 매월 시 3편과 부 1편을, 지방 관리들에게는 1년에 1회씩 글을 지어 바치게 했던 제도.


사학의 발달과 관학 진흥책

관학

중앙 국자감, 지방 향학

사학

최충의 9재학당(문헌공도), 사학 12

관학진흥책

숙종

국자감에 서적포 설치 서적 간행

예종

9재 모방 7재 설치, 국자감을 국학 개칭, 양현고(장학재단), 청연각보문각(도서관+학문 연구소)

인종

개경에 경사 6학 정비, 향교를 중심으로 지방 교육을 강화

충렬왕

양현고의 부실을 보충하기 위한 재단 섬학전 설치, 국학을 성균관 개칭, 공자 사당인 문묘 건립.

공민왕

성균관 부흥



 


⑶ 사서의 편찬


전기

유학의 발달과 더불어 유교적 역사서술체계 확립

7대실록

거란의 침입으로 불타자 현종은 태조목종대의 실록을 새로 간행(부전)

편년통록

고려 의종때 김관의의 저작으로 왕실 권위확보(왕건 가계)와 고려왕조 중흥 기원을 빈 유교적 서술(부전)

기타

편년통재(작자 미상, 부전), 고금록(문종, 박인량, 부전), 속편년통재(예종, 홍관, 부전)

중기

삼국사기

현존하는 한국 최고의 역사서. 여초 구삼국사를 기본으로 한 기전체 사서.

후기

무신난, 대몽항쟁 이후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목적으로 편찬

삼국유사

단군을 민족시조로 내세움

제왕운기

충렬왕 13(1287) 이승휴가 유교적 입장에서 중국(상권), 한국(하권)의 현전 역대 서사시.

상권: 반고, 하권: 단군충렬왕까지의 역대와 사적을 7언 또는 5언시로.

단군을 개국의 국조로, 발해를 국사로 부각하는 역사적 자주성이 있으나 원의 지배와 충렬의 치세를 개발기발무유벽이라고 칭송하는 한계.

해동고승전

고종. 각훈. 왕명에 의해 우리 불교사상을 종교적 입장에서 정리(2권 현전)

동명왕편

이규보가 동명왕을 칭송한 일종의 민족서사시.

말기

정통 의식과 대의명분을 강조하는 성리학적 유교사관이 대두

사략

이제현 저술. 지금은 사략에 실린 사료만 현전. 왕권을 중심으로 국가 질서를 회복의식.



고려 초기

고려 중기

무신집권기

대몽항쟁기

고려 말기

고구려 계승의식

신라 계승의식

고구려 계승의식

고조선 계승의식

유교사관

삼국사기

자주사관

동명왕편」「삼국유사」「제왕운기

성리학적 사관

고려국사」「동국사략

 

 

 

 

 

 

성리학의 수용


기존사상의

한계

불교는 지나치게 관념론()에 흐르고 도교는 양생()에 치우쳐 편파적, 성리학은 양자를 통합한 객관적 관념론의 철학체계이자 진보적 윤리체계임.

수입

고려 충렬왕 때 안향이 최초로 수입

발전

충선왕

백이정, 이제현, 박충좌 염복원명선조맹부와 사귀고 돌아옴

충숙왕

안축, 이곡, 이색 성리학 심화

공민왕

정몽주, 정도전, 이숭인 성리학 연구교육의 본격화

영향

종래의 훈고학적인 유학이 철학적인 유학으로 변화

분열

온건파(후에 사림파)와 급진파(후에 관학파)로 나뉘어 대립

여말선초의

성리학

실천적 기능을 강조, 소학과 주자가례를 권장하고 볼교의 폐단을 비판, 불교를 대체한 새로운 국가 이념으로 부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