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과학 기술


천문학과 의학의 발달

국자감에서 율학산학서학 등을 교육, 잡과의 실시.

천문학: 사천대(서운관)에서 천문과 역법 담당. 사천대의 관리들이 첨성대에서 관측 업무 수행.

역법: 고려 초에는 신라 때의 선명력()을 사용하였으나, 충선왕 때에는 원의 수시력을 채용. 공민왕 때에는 명의 대통력 사용.

의학

담당 관청: 의료 업무를 맡은 태의감에서 교육 실시, 의과 시행.

약국 개설: 개경에 약국이 개설

중기: 독자적 처방인 향약방이 발전.

후기: 향약구급방(고종 1236)은 질병 처방과 국산 약재 180여종을 소개한 현존 最古의 의학 서적.

 


인쇄술과 제지술의 발달

건국 초부터 개경과 서경에 도서관을 설치하고 서적포에서는 목판 인쇄술을 사용.

금속활자 인쇄: 12C13C초 무렵에 이루어져 다품종 소량인쇄에 적합.

③ 「상정고금예문(인종 1234)를 금속 활자로 찍었다는 내용이 동국이상국집에 전하기만 함. 청주 흥덕 사에서 간행한 직지심체요절(우왕 1377)이 현존 최고의 금속 활자본으로 공인, 프랑스에 보관.

제지술도 발달하여 전국적으로 닥나무의 재배를 장려하고 종이 제조의 전담 관서를 설치.

서적원 설치: 공양왕 때 설치되어 주자와 인쇄 담당.



⑶ 농업기술의 발달과 농업 생산력의 증대

 

권농 정책

광종

황무지 개간의 규정을 마련하여 토지 개간을 장려하였다.

성종

각 지방의 무기를 거둬들이고 이를 농기구로 만들어 보급하였다.

토지의 개간과 간척

고려 중기까지는 묵은 땅, 황무지, 산지 등의 개간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후기에는 해안 지방의 저습지가 간척되기 시작하였다. 강화도 피난 시기 이후에는 강화도 지방을 중심으로 추진. 서해안 지방의 간척 사업은 조수간만의 차가 적은 시기를 주로 사용.

수리 시설

김제의 벽골제와 밀양의 수산제가 개축, 소규모의 제언(저수지)이 확충되고 해안의 방조제 등이 축조.

이앙법

11, 직파법이 행해지다 고려 말에는 남부 지방 일부에서 이앙법이 보급

윤작법

보리23작의 윤작법이 보급

심경법

소를 이용해서 땅을 깊게 가는 방법

시비법

가축의 배설물을 거름으로 사용, 풀이나 나무를 태운 재를 거름으로 사용

녹비법

콩과 작물을 심은 뒤 갈아엎어 비료로 사용

농상집요

이임이 원에서 수입하여 전파.

목화

공민왕 때 문익점이 전래, 정천익이 재배


 

화약 제조 기술과 조선 기술

화약 제조 기술: 대몽 항쟁기 최무선의 끈질긴 노력으로 원으로부터 화약 제조법을 터득. 고려 정부는 화통도감(우왕 1377)을 설치하고 최무선을 중심으로 화약과 화포를 제작. 최무선과 박위가 화포로 왜구 격퇴.

조선술의 발달

대형 범선: 송과의 해상 무역이 활발해짐에 따라 96척 길이의 대형 범선이 제조.

조운선: 조운 체계의 확립과 함께 등장.

주로 해안 지방의 조창에 배치: 대형 조운선으로 1,000석의 곡물 적재 가능.

주로 한강 유역의 조장에 배치: 소형 조운선으로 200석 정도의 곡물 적재.

13세기 후반: 원의 강요에 따라 일본 원정에 필요한 전함 수백 척을 짧은 기간에 건조.

고려 말: 배에 화포를 설치하여 왜구 격퇴, 또한 배의 구조를 화포 사용에 알맞게 개조하였을 것으 로 추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