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불교와 신앙


불교 장려정책

태조

훈요십조에서 연등회와 팔관회 장려, 이엄경유를 왕사국사로 받들었다.

광종

승과제도 마련, 최초의 왕사에는 탄문, 국사로 혜거를 추대. 귀법사를 화엄종의 본찰로 삼았고, 교선 양자를 각각 통합하려 하였다.

현종

연등회팔관회 부활, 대장경 조판 시작.

문종

흥왕사를 건립. 승려에게 별사전 지급.

숙종

의천(숙종의 아우이자 문종의 4)

 

시기

특징

초기

5(화엄종 중심)9산의 사상적 대립이 계속됨

광종 - 교종은 교종대로, 선종은 선종대로 각각 통합 뒤 다시 전체적 통합에 관심(천태종)

균여 - 귀법사를 화엄종의 본찰로 삼고 분열된 종파를 수습하려 하였다

제관 - 천태사교의

의통 - 중국 천태종 13대 교조

* 건국 직후에는 호족 출신이 권력을 잡으면서 선종의 영향력이 컸으나, 점차 중앙 집권 체제가 강화되면서 체제 옹호적인 교종이 성행.

중기

왕실과 귀족의 지원을 받은 화업종과 법상종이 나란히 융성

법상종의 발달: 유식 사상을 바탕으로 의식에 치중.

화엄종의 융성: 의천은 귀족들의 호화로운 불교 의식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불교 혁신 운동을 전개하였고, 흥왕사의 주지가 되어 이곳을 중심으로 화엄종의 교세를 크게 진작시켰다.

의천흥왕사를 근거로 화엄종 중심의 교종을 통합하려 하였음

숙종의 후원을 받아 국청사를 중심으로 (해동)천태종을 개창.

원종문류, 석원사림, 천태사교의주 저술.

교관겸수 주창: 교종 중심의 교선 융합을 주장.

무신

시대

선종이 발달하고, 문신들의 피난처로의 교종이 무신정권과 충돌하여 탄압받음.

조계종 발달: 보조국사 지눌이 통합(최씨 정권이 정책적으로 후원)

결사(신앙단체)의 유행수선사(순천) 결사(1208): 창립자 지눌이 송광사를 중심으로 독경수행노동에 주력하는 운동을 전개하여 개혁적 승려들과 지방민의 큰 호응을 받음.

백련사(강진) 결사(1204): 요세가 만덕사를 중심으로 전개한 법화 신앙의 천태종 단체. 법화 신앙을 중점으로 기층 사회의 교화에 노력하여 지방민의 지지 받음.

각훈: 화엄종의 대가, 해동고승전 저술, 최우 팔만대장경 조판

원간

섭기

라마불교의 전래

인도 선종의 전래: 인도 승려 지공이 전파

보우에 의한 임제종(중국 선종) 전래, 보우 등이 부패한 교단을 정비하려 하였으나 실패.

폐해

면세, 면역, 군역 기피의 소굴화

농장 소유, 고리대(장생고), 상업활동(양조업)

불교의 미신화, 승려의 비행





불교 종파의 정리(천태종과 조계종)

  

천태종

조계종

고려 전기(숙종)

교종 중심(+) 절충 교관겸수

의천(원효의 화쟁사상을 계승)

지관(생각 중단, 지혜로서 사물 관조)

왕실-귀족, 안정기

중심사찰: 국청사

화엄종으로 교선을 통합

[신편제종교장총록]

정화운동: 백련사(요세) 묘련사 변질

교려 후기

선종중심(+선 통합) 선교겸수

지눌 혜심(유불일치설) 성리학의 토대

정혜쌍수돈오점수

무신, 혼란기

중심사찰: 송광사(순천)

조계종으로 교선을 통합

9산선문 통합

정화운동: 수선사(지눌혜심)

 

대장경의 조판

개념과 특징: 불교 경전을 집대성한, (교리)(규범)(경과 율의 해석)으로 구성된 대장경. 호국 과 현세 구복적인 목적이 있음.

1차 대장경

교장

2차 대장경

1012(현종 2)1087(선종 4)

1096(숙종 2) 인간

1236(고종 23)1251(고종 38)

=초조 대장경

=정장=초판고본대장경

신편제종교장총록(불서목록)

1073(문종 27)1090(선종 7)

=8만 대장경

=재조 대장경

거란대비

현종선종

6,000원글 대구 부인사에

몽고 침입때 소실

교토 남선사에 일부 전함

최근 해인사 비로자나불좌상에서 60점 발굴

의천이 송일본 등에서 수집

광의의 의미에서 1차 대장경

흥왕사 [교장도감] 설치

4,700권 인쇄, 논소초 구성

선종관계의 것은 일절 없음

몽고 3차 침입때 소실

송광사에 일부 전함

몽고 침입시 최우가 강화도 대장도감에서 조판

선원사에 보관

선초 해인사로 이전

국보로서 해인사 장경각에 완성

고려불교의 자기완성

이규보는 대장 각판 군신 기고문을 씀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불국사(석굴암), 종묘, 팔만대장경, 창덕궁, 화성(1997), 고인돌(2000. 11), 경주 고적지구 (2000. 11)

유네스코 지정 기록문화유산: 조선왕조실록(1997), 훈민정음(1997), 승정원일기(2001), 직지심경(2001)

유네스코 지정 무형문화유산: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 판소리(2003)

 

 

 

도교와 풍수지리설의 발달

도교: 불로장생과 현세구복을 추구하는 도교는 국가의 비호를 받으며 숭상

전개: 예종 때 도교 사원인 도관이 처음 건립되었고 여러 곳에서 초제가 성행. 교단을 성립하지는 못하고 민간 신앙으로 전개.

도교 행사: 팔관회(초제+민간신앙+불교), 초제(하늘과 별들에 제사).

풍수지리설

고려 초: 개경서경 명당설이 유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의 이론적 근거가 됨.

문종 때: 북진 정책의 퇴조와 함께 한양 명당설이 대두하여 남경으로 승격(남경길지설)

숙종 때: 남경에 궁궐을 지어 왕이 몇 달씩 머물기도 함.

예종 때: 풍수지리설 비록을 집대성한 󰡔해동비록󰡕 편찬(부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