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불교와 신앙
⑴ 불교 장려정책
태조 | 훈요십조에서 연등회와 팔관회 장려, 이엄․경유를 왕사․국사로 받들었다. |
광종 | 승과제도 마련, 최초의 왕사에는 탄문, 국사로 혜거를 추대. 귀법사를 화엄종의 본찰로 삼았고, 교선 양자를 각각 통합하려 하였다. |
현종 | 연등회․팔관회 부활, 대장경 조판 시작. |
문종 | 흥왕사를 건립. 승려에게 별사전 지급. |
숙종 | 의천(숙종의 아우이자 문종의 4남) |
시기 | 특징 |
초기 | ∙5교(화엄종 중심)와 9산의 사상적 대립이 계속됨 ∙광종 - 교종은 교종대로, 선종은 선종대로 각각 통합 뒤 다시 전체적 통합에 관심(천태종) ∙균여 - 귀법사를 화엄종의 본찰로 삼고 분열된 종파를 수습하려 하였다 ∙제관 - 「천태사교의」 ∙의통 - 중국 천태종 13대 교조 * 건국 직후에는 호족 출신이 권력을 잡으면서 선종의 영향력이 컸으나, 점차 중앙 집권 체제가 강화되면서 체제 옹호적인 교종이 성행. |
중기 | ∙왕실과 귀족의 지원을 받은 화업종과 법상종이 나란히 융성 ┌법상종의 발달: 유식 사상을 바탕으로 의식에 치중. └화엄종의 융성: 의천은 귀족들의 호화로운 불교 의식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불교 혁신 운동을 전개하였고, 흥왕사의 주지가 되어 이곳을 중심으로 화엄종의 교세를 크게 진작시켰다. ∙의천┌흥왕사를 근거로 화엄종 중심의 교종을 통합하려 하였음 ├숙종의 후원을 받아 국청사를 중심으로 (해동)천태종을 개창. ├「원종문류」, 「석원사림」, 「천태사교의주」 저술. └교관겸수 주창: 교종 중심의 교선 융합을 주장. |
무신 시대 | ∙선종이 발달하고, 문신들의 피난처로의 교종이 무신정권과 충돌하여 탄압받음. ∙조계종 발달: 보조국사 지눌이 통합(최씨 정권이 정책적으로 후원) ∙결사(신앙단체)의 유행┌수선사(순천) 결사(1208): 창립자 지눌이 송광사를 중심으로 독경․수행․노동에 │주력하는 운동을 전개하여 개혁적 승려들과 지방민의 큰 호응을 받음. └백련사(강진) 결사(1204): 요세가 만덕사를 중심으로 전개한 법화 신앙의 천태종 단체. 법화 신앙을 중점으로 기층 사회의 교화에 노력하여 지방민의 지지 받음. ∙각훈: 화엄종의 대가, 「해동고승전」 저술, 최우 「팔만대장경」 조판 |
원간 섭기 | ∙라마불교의 전래 ∙인도 선종의 전래: 인도 승려 지공이 전파 ∙보우에 의한 임제종(중국 선종) 전래, 보우 등이 부패한 교단을 정비하려 하였으나 실패. |
폐해 | ∙면세, 면역, 군역 기피의 소굴화 ∙농장 소유, 고리대(장생고), 상업활동(양조업) ∙불교의 미신화, 승려의 비행 |
⑵ 불교 종파의 정리(천태종과 조계종)
천태종 | 조계종 |
고려 전기(숙종) 교종 중심(교+선) 절충 ⇨ 교관겸수 의천(원효의 화쟁사상을 계승) 지관(생각 중단, 지혜로서 사물 관조) 왕실-귀족, 안정기 중심사찰: 국청사 화엄종으로 교선을 통합 [신편제종교장총록] 정화운동: 백련사(요세) ⇨ 묘련사 변질 | 교려 후기 선종중심(교+선 통합) ⇨ 선교겸수 지눌 ⇨ 혜심(유불일치설) ⇨ 성리학의 토대 정혜쌍수․돈오점수 무신, 혼란기 중심사찰: 송광사(순천) 조계종으로 교선을 통합 9산선문 통합 정화운동: 수선사(지눌․혜심) |
⑶ 대장경의 조판
① 개념과 특징: 불교 경전을 집대성한, 경(교리)․율(규범)․론(경과 율의 해석)으로 구성된 대장경. 호국 과 현세 구복적인 목적이 있음.
제1차 대장경 | 교장 | 제2차 대장경 |
1012(현종 2)~1087(선종 4) | 1096(숙종 2) 인간 | 1236(고종 23)~1251(고종 38) |
=초조 대장경 =정장=초판고본대장경 | ≒신편제종교장총록(불서목록) 1073(문종 27)~1090(선종 7) | =8만 대장경 =재조 대장경 |
거란대비 현종~선종 6,000원글 대구 부인사에 몽고 침입때 소실 교토 ‘남선사’에 일부 전함 최근 해인사 비로자나불좌상에서 60점 발굴 | 의천이 송․요․일본 등에서 수집 광의의 의미에서 1차 대장경 흥왕사 [교장도감] 설치 4,700권 인쇄, 논소초 구성 선종관계의 것은 일절 없음 몽고 3차 침입때 소실 송광사에 일부 전함 | 몽고 침입시 최우가 강화도 대장도감에서 조판 선원사에 보관 선초 해인사로 이전 국보로서 해인사 장경각에 완성 고려불교의 자기완성 이규보는 대장 각판 군신 기고문을 씀
|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불국사(석굴암), 종묘, 팔만대장경, 창덕궁, 화성(1997), 고인돌(2000. 11), 경주 고적지구 (2000. 11) 유네스코 지정 기록문화유산: 조선왕조실록(1997), 훈민정음(1997), 승정원일기(2001), 직지심경(2001) 유네스코 지정 무형문화유산: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 판소리(2003) |
⑷ 도교와 풍수지리설의 발달
① 도교: 불로장생과 현세구복을 추구하는 도교는 국가의 비호를 받으며 숭상
㉠ 전개: 예종 때 도교 사원인 도관이 처음 건립되었고 여러 곳에서 초제가 성행. 교단을 성립하지는 못하고 민간 신앙으로 전개.
㉡ 도교 행사: 팔관회(초제+민간신앙+불교), 초제(하늘과 별들에 제사).
② 풍수지리설
㉠ 고려 초: 개경․서경 명당설이 유포.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의 이론적 근거가 됨.
㉡ 문종 때: 북진 정책의 퇴조와 함께 한양 명당설이 대두하여 남경으로 승격(남경길지설)
㉢ 숙종 때: 남경에 궁궐을 지어 왕이 몇 달씩 머물기도 함.
㉣ 예종 때: 풍수지리설 비록을 집대성한 해동비록 편찬(부전).
'한국사 > 고려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경제사 1 - 심경법, 시비법, 일역전, 재역전, 역분전, 전시과(시정, 개정, 경정), 경시서, 광학보, 제위보 등 (0) | 2018.11.30 |
---|---|
고려 사회사 1 - 문벌귀족, 무신집권,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중간계층, 양민, 향소부곡민, 천민 등 (0) | 2018.11.30 |
고려 문화사 4 - 문학, 건축, 조각, 공예, 서체, 그림, 음악 (0) | 2018.11.30 |
고려 문화사 3 - 과학 기술, 인쇄술, 상정고금예문, 농업기술, 화약제조 (0) | 2018.11.29 |
고려 문화사 1 - 유학(최언위, 최지몽, 최승로, 최충, 김부식), 성리학 / 문신월과법, 문헌공도, 서적포, 양현고 / 역사서 등 (0) | 2018.11.29 |